본문 바로가기
여행정보/중국

우주에서 만리장성이 보일까? 🛰️🏯 진실 or 거짓? 과학적으로 완전 정리!

by 윤지윤아 2025. 4. 4.


"우주에서 유일하게 보이는 인공 건축물은 만리장성이다."
한 번쯤 들어보셨죠? 이 말은 오랫동안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진 **대표적인 '우주 속 도시전설'**입니다.

하지만 과학자들과 실제 우주비행사들의 증언에 따르면, 이 주장은 사실과는 다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우주에서 만리장성이 보인다는 주장에 대한 진실, 그리고 실제로 우주에서 보이는 인공 구조물은 무엇인지를 낱낱이 밝혀드릴게요! 🔭🌍


1. “만리장성은 우주에서 보인다”의 유래는? 📜

이 말의 기원은 정확하진 않지만, 1938년 미국 잡지에서 처음 언급된 도시전설로 알려져 있습니다.
이후 여러 교과서, 백과사전, 다큐멘터리에서 반복적으로 소개되며 사실처럼 굳어졌죠.

📘 예전 일부 한국 교과서에도 “우주에서 유일하게 보이는 인공 건축물은 만리장성이다”라는 문장이 실려 있었습니다.

하지만 이는 **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‘오해’**로 판명났습니다.


 

 

2. 과학자들과 우주비행사들의 실제 증언 👨‍🚀📡

NASA 공식 발표

“만리장성은 우주에서 볼 수 있는 인공물이라는 주장은 신화입니다.
육안으로는 구분이 거의 불가능합니다.”

양리웨이 (중국 최초 우주비행사) – 2003년

“지구 궤도(고도 약 300km)에서 만리장성은 전혀 보이지 않았습니다.
보이는 건 도시, 강, 공항 같은 대규모 구조물뿐입니다.”

앨런 빈 (Apollo 12 우주비행사)

“만리장성은 너무 가늘고, 주변 환경과 색상이 비슷해 눈으로 구분할 수 없다.”

📌 결론: 만리장성은 너무 길긴 하지만 너무 가늘고, 주변 지형과 색이 비슷하여 육안으로 보기 힘들다.


3. 왜 보이지 않을까?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🔬

항목설명
길이 21,000km 이상 (엄청나게 김)
너비 평균 5~9m 수준 (육안으로 보기엔 너무 가늘다)
재료 & 색상 대부분 돌, 흙, 벽돌 → 주변 산지와 색이 비슷
높이 평균 7~8m 정도 → 위성 궤도에선 극히 작게 보임
지구 곡률 400km 상공에서도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수평선 너머는 시야에서 사라짐

즉, 만리장성은 규모에 비해 너무 얇고 지형에 묻히며, 눈으로 볼 수 있는 크기와 명암이 부족합니다.


 

 

4. 그렇다면 우주에서 보이는 인공 건축물은? 👀🛰️

인공물실제로 보이는가?특징
공항 활주로 ✅ 보임 길고 넓은 콘크리트 표면, 색 대비 뚜렷함
고속도로 & 대도시 ✅ 보임 불빛, 구조물, 패턴 등이 눈에 띔
댐 (세삼협댐 등) ✅ 보임 거대한 수자원 구조물, 물과의 대비로 시인성 우수
나일강·황하 등 강줄기 ✅ 보임 자연 구조물이지만, 인류 활동에 의해 형상 강조됨
야간 도시 불빛 ✅ 야간에 보임 도시 규모에 따라 매우 밝은 지역 존재 (서울, 도쿄 등)

💡 우주에서 보이려면 구조물이 길고 넓고, 배경과 색상 대비가 강해야 합니다.


5. 위성사진으로는 만리장성이 보일까? 🛰️📸

위성 카메라로는 보입니다.
→ 하지만 이는 고배율 고해상도 줌 카메라로 촬영했기 때문!
→ 일반 육안으로 보는 우주비행사 시야와는 다릅니다.

🧠 즉, 위성 사진은 ‘보인다’고 해도
실제 우주인의 눈으로는 구분 불가입니다.


 

 

결론

우주에서 만리장성이 보인다”는 말은 과거 잘못된 정보에서 시작된 전형적인 도시전설입니다.
길이는 세계 최장이지만, 너무 얇고 지형과 색상이 비슷해 실제 우주에서 육안으로는 볼 수 없습니다.

대신 우리가 우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건 대도시의 야경, 활주로, 고속도로, 대형 댐 등입니다.
정확한 정보로, 더 흥미로운 과학과 세계를 바라보는 눈을 키워보세요! 🌍🚀